종류 | 설명 | 데이터 값 |
---|---|---|
Incident | 이것들은 팀들이 가장 흔하게 생성하는 인시던트입니다. 이들은 다음을 통해 선언됩니다 /rootly new Slack 명령어. | normal |
Sub Incident | 이들은 일반 인시던트 아래에 생성될 수 있는 하위 인시던트입니다. 이들은 기존 인시던트 채널 내에서 다음을 통해 선언됩니다 /rootly sub Slack 명령어. | normal_sub |
Test Incident | 이들은 일반 인시던트와 동등하지만 테스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테스트 인시던트는 상태 페이지에 게시될 수 없습니다. 이들은 다음을 통해 선언됩니다 /rootly test Slack 명령어. | test |
Sub Test Incident | 이들은 일반 하위 인시던트와 동등하지만 테스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하위 테스트 인시던트 역시 상태 페이지에 게시될 수 없습니다. 이들은 기존 테스트 인시던트 채널 내에서 다음을 통해 선언됩니다 /rootly sub Slack 명령어. | test_sub |
Backfill Incident | 이들은 이미 해결된 후에 추가되는 인시던트입니다. 백필 인시던트가 선언되면, 인시던트 생성 시 트리거되는 모든 워크플로우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 이들은 다음을 통해 선언됩니다 /rootly new Slack 명령어와 Backfill Incident를 선택합니다. | backfilled |
Scheduled Maintenance | 이들은 계획된 유지보수 주기에 대해 선언될 수 있는 “인시던트”입니다. 이들은 고유한 상태와 다른 속성을 가집니다. 이들은 다음을 통해 선언됩니다 /rootly maintenance Slack 명령어. | scheduled |
종류 | 설명 | 데이터 값 |
---|---|---|
분류 | 분류 상태는 인시던트로 확인되지 않은 문제에 사용됩니다. 분류 상태로 인시던트를 선언하려면, 인시던트를 생성할 때 간단히 분류 중으로 표시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됩니다. 이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. | in_triage |
시작됨 | 이는 인시던트의 공식적인 시작을 표시합니다. 분류 상태에서 시작됨 상태로 인시던트를 진행하거나 직접 시작됨 상태로 인시던트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. 이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. | started |
완화됨 | 완화됨 상태는 인시던트의 영향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. 이는 인시던트의 끝이 아닙니다. 이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. | mitigated |
해결됨 | 해결됨 상태는 인시던트의 종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. 이는 일반적으로 회고가 생성되고 활성 이슈 티켓이 닫히는 시점입니다. 이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. | resolved |
취소됨 | 취소됨 상태는 인시던트의 수명 주기 중 언제든지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이는 일반적으로 거짓 양성 인시던트를 표시하거나 중복 인시던트를 닫는 데 사용됩니다. 이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. | cancelled |
예정됨 | 예정됨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만 적용됩니다. 이는 유지보수 기간이 계획되고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. | scheduled |
진행 중 | 진행 중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만 적용됩니다. 이는 유지보수 기간이 현재 활성 상태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. | in_progress |
완료됨 | 완료됨 상태는 예정된 유지보수에만 적용됩니다. 이는 계획된 유지보수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. | completed |
속성 | 설명 |
---|---|
환경 | 이 속성을 사용하면 영향을 받는 환경에 따라 인시던트를 특성화할 수 있습니다. PROD에 영향을 미치는 인시던트는 DEV에만 영향을 미치는 인시던트보다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합니다. |
심각도 | 이 속성은 인시던트의 영향 수준을 분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SEV0 인시던트는 SEV3 인시던트보다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. |
인시던트 유형 | 이 속성은 종종 Kind 속성과 혼동됩니다. Kind는 Rootly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내부 분류인 반면, Type은 회사의 인시던트 분류 요구 사항에 맞게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. 이 속성의 사용은 매우 유연합니다. 일부 회사는 이를 사용하여 UI 버그와 API 이슈를 구분합니다. 다른 회사들은 이 속성을 사용하여 내부 중단과 고객 대면 인시던트를 구분합니다. |
인시던트 역할 | 이 속성은 인시던트 중 대응자의 책임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Incident Commander의 작업은 Communications Lead와 다른 작업을 가져야 합니다. |
팀 | 이 속성을 사용하면 인시던트를 담당 팀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. 제품과 관련된 인시던트는 Product 팀으로 가야 하고, 보안 인시던트는 InfoSec 팀이 가장 잘 처리할 수 있습니다. |
서비스 | 이 속성을 사용하면 영향을 받는 서비스 구성 요소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. 영향을 받는 서비스는 상태 페이지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. |
기능 | 이 속성을 사용하면 인시던트 중에 중단된 특정 기능적 동작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항목을 장바구니에 담는 기능이나 로그인 기능 등입니다. Services와 마찬가지로, Functionalities도 상태 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. |
인시던트 원인 | 이 속성을 사용하면 인시던트의 근본 원인을 빠르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특히 과거 인시던트를 분석할 때 트렌드를 식별하는 데 유용합니다. |